디바이스나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IoT와 관련한 내용들이 연일 기사화 되고 있으며, 내년에도 IT 시장을 뜨겁게 달구는 화두가 될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IoT라는 용어가 가지는 의미가 너무 광범위하다보니 정확히 어느 부분에서의 IoT 시장이 먼저 활성화가 될 것이냐 하는 점에는 혼란의 여지가 있다. 웨어러블 기기나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기기 등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하고 있는 B2C 영역뿐만 아니라, 스마트 팩토리나 산업 인터넷(Industrial IoT)과 같은 B2B 인접 영역 모두 IoT 라는 용어로 함께 설명되기 때문일 것이다.
테크크런치에 최근 게재된 컬럼 (There is no IoT)에 관련 내용이 설명되고 있다. 특히 우리가 데스크탑 PC 시대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시대를 거치면서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다양성의 시기를 IoT 시대에 경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IoT 기기들은 전력 사용이나 네트워크 액세스, 컴퓨팅 파워, 비용 이슈 등의 변수에 있어서도 전에 없던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일단 시장에서는 IoT 중에서도 산업 인터넷(Industrial IoT) 영역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IoT 적용을 통해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면 비용을 지출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상대적으로 덜한 곳이 산업 영역이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산업 인터넷과 관련하여 가장 본격적인 움직임이 눈에띄는 곳은 통신사들 간의 네트워크 경쟁 영역이다. 올해 들어 LTE-M이나 LoRa와 같은 IoT 전용 네트워크 전국망 구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으며, 내년 초에는 NB-IoT 상용화까지 예정되어 있다.
실제로 사업자들 또한 이를 인지하고 전통 방식의 과금체계가 아니라, IoT 기기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oT 플랫폼이라고 일컬어지는 영역이 바로 그것이며, 이 부분의 경우 네트워크 사업자뿐만 아니라 기존의 하드웨어 관련 사업자 및 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자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경쟁에 나서고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추후 이러한 경쟁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핵심 요소로는 바로 분석과 보안 관련 솔루션 등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이러한 분석과 보안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한 사업자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때 분석이란 단순히 대쉬보드 형태로 데이터를 비쥬얼라이즈 해주는 수준이 아니라 , 실제로 의미 있는 결과물을 추출해 내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준의 결과치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렇게 만들어낸 결과치가 기존 ERP를 비롯한 사내 소프트웨어와 얼마나 효율적으로 연동되어 업무 담당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실제 현업에서 산업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확보한 사례가 입증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다.
![[출처: IoT PLATFORMS: MARKET REPORT 2015-2021 , IoT Analytics]](http://verticalplatform.kr/wp-content/uploads/2016/11/value-chain.png)
IoT에 SigFox, LoRa, LTE-M, NB-IoT 외에도 Zigbee, Bluetooth, 그리고 RPMA를 같이 비교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각기 장단점이 존재하며 다양한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_^ 보고서 작성시 말씀하신 부분들도 추가하겠습니다.
Comments are closed.